인제 알았노라, 애인의 몸을 나툰 부처님/춘원 이광수 애 인 / 춘원 이광수 님에게는 아까운 것 없이 무엇이나 바치고 싶은 이 마음 거기서 나는 보시(布施)를 배웠노라 임께 보이고자 애써 깨끗이 단장하는 이 마음 거기서 나는 지계(持戒)를 배웠노라 임이 주시는 것이면 때림이나 꾸지람이나 기쁘게 받는 이 마음 거기서 나는 인욕(忍辱)을 .. 불교 2018.08.12
[스크랩] 현각 스님이 우리에게 가르쳤던 것(TTimes 2016년 8월 1일)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나를 묻는 과정한국 불교의 배타성과 기복 신앙에 대해 비판을 제기한 푸른 눈의 현각 스님. 한국 불교에 귀의하면서 우리에게 강조해왔던 가르침을 정리한다. 그가 왜 이토록 한국 불교에 쓴 소리를 하는지 알 수 있다. ※원본 출처(온라인 URL주소) http://ttimes.co.kr/v.. 불교 2018.08.07
길에서 길을 찾는다 길에서 길을 찾는다 마음 心 나에게 한 권의 經이 있으니 종이와 먹으로 이룬 것이 아니로다. 활짝 펴 놓아도 글자 하나 없건만 항상 큰 광명이 여기서 퍼져 나가노라. 이 經은 곧 天地自然經이다. 天地萬物, 山色溪聲이 모두 우주의 실상과 진리를 보여 준다는 뜻이다. 우리는 마땅히 마.. 불교 2018.07.30
팔정도(八正道) 팔정도(八正道) 내용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념(正念)·정정진(正精 進)·정정(正定)을 말한다. 우리 나라의 불교는 대승불교권에 속하지만, 불교를 믿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이 팔정도에 의하여 수행하고 생활하도록 되어 있다. 이 팔.. 불교 2018.07.19
포대화상 당나라 때, 행복한 중국인 또는 웃는 부처라고 불리는 건장한 사나이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포대布袋였다. 그는 자신을 선사禪師라고 여기지도 않았고, 다른 사람들이 그를 선사라고 부르는 것을 원치 않았다. 당연히 그는 주위에 제자들을 거느리는 것도 싫어했다. 대신에 그는 사탕과 .. 불교 2018.07.15
그 다음엔?...... 불교 이야기 뉴욕의 한 선원(Zen center)을 찾아온 미국인에게 선사가 물었다. "그대는 이름이 무엇인가?" "브라운 입니다." "언제부터 브라운인가?" "부모가 이름을 지어줬을 때 부터죠.." "그럼 그 이전,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 " ....... " "그대는 고향이 어딘가?" "뉴욕입니다." "언제부터 뉴욕.. 불교 2018.07.13
병자를 돌보고 간호하는 보사를 행하라. 부처님말씀[2] [증일아함 제4권 ‘일입도품(一入道品)’ 제3경] 부처님이 사위국 기원정사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부처님은 병든 사람을 보살피는 일이 얼마나 훌륭한 공덕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씀했다. “병자를 돌보는 것은 곧 나(여래)를 돌보는 것과 같고 병든 사람을 간호하는 것은 곧 나.. 불교 2018.07.10
누군가의 병간으로 힘들어 하는 그대에게.. 부처님 말씀[1] [증일아함 40권 제44 '구중생거품(九衆生居品)' 제7경] 부처님이 라자가하 죽림정사에 계실 때의 일이다. 그때 어떤 비구가 위중한 병을 앓아 누워 있었다. 그는 제힘으로 일어날 수도 없고 대소변을 가리기도 힘들었지만 아무도 돌보는 사람이 없었다. 이를 알게 된 부처님은 그를 찾아가 .. 불교 2018.07.10
진정한 이름으로 날 불러주오/틱낫한 Please Call Me by My True Names - 진정한 이름으로 날 불러주오 / 틱닛한 tomorrDon't say that i will depart tomorrow 내일이면 나 떠나리라 말하지 마라even today I am still arriving. 오늘도 난 여전히 오고 있으니 Look deeply: every second I am arriving 깊은 눈으로 바라보라 나는 시시각각 오고 있나니 to be a bud on a Spr.. 불교 2018.07.01
퇴옹성철스님 108가지 가르침 퇴옹성철 큰스님 1. 자기의 허물을 먼저 알아야 한다. 2. 진실한 참회를 하면 성불한다. 3. 타인에게 지고 산다. 4. 사주보다 관상이 좋고, 관상보다 심상이 좋다. 5. 인간은 욕망을 갖고 태어난다. 그러나 허물에 찬 지나친 욕망은 죄만 짓는 결과를 초래한다. (1) 일 년에 아비라기도 4회 참가.. 불교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