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世說新語

老人三反(노인의 세가지 상반되는 점)

highlake(孤雲) 2014. 3. 26. 15:54

 


世俗有言,老人與年少之人相反者,大槩有三,
세속유언,노인여년소지인상반자,대개유삼
夜不肯寐而喜晝眠,不能近視,而能遠視,
야불긍매이희주면,불능근시,이능원시
篤愛兒孫,而疎其親子,此老人之三反也
독애아손,이소기친자,차노인지삼반야

세속에서 하는 말이 있다.노인이 젊은이와 반대인 것이 대개 세가지다.
밤에 잠을 안자며 낮잠을 좋아하고,가까운 것은 못 보면서 먼 것은 보며,
손주는 몹시 아끼나 자식과는 소원한 것,
이것이 노인의 세가지 상반된 점이다. 
                          - 간옹우묵(艮翁疣墨) - (이기李墍 1522~1600)

 

 

兒多慧.老多忘,兒多樂,老多悲,此亦一身中造化遷流
아다혜,노다망,아다락,노다비,차역일신중조화천류

 

아이적엔 똑똑해도 늙으면 잘 잊고,
아이 때는 다 즐거우나 늙으면 모든 것이 슬프다.
이 또한 한 몸 가운데 조화가 옮겨 흘러감이다
                                  - 회심언(會心言) - (왕납간(王納諫) /명나라)

 

 

 

人能自老看少,自死看生,自敗看成,自悴看榮,則性定而動自正
인능자노간소,자사간생,자패간성,자췌간영,칙성정이동자정

사람이 늙은이 처지에서 젊은이를 보고,죽음을 통해 삶을 보며,
시들어 초췌함으로 부터 영화로움을 본다면 성품이 안정되고
행동이 절로 바르게 되리라.
                            - 잠영록(潛潁錄) - (진익상(陳益祥) /명나라)

 

                                          <조선일보 정민의 世說新語중에서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