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 모음

閑居(한가로운 거처)

highlake(孤雲) 2016. 8. 13. 16:04

閑  居     한 거



苔色閑來碧  태색한래벽
蟬聲睡後凉  선성수후량


蕭然요隱几  소연요은궤
寂爾卽禪房  적이즉선방


山水忘憂物  산수망우물
文章却老方  문장각로방


心無關一事  심무관일사
幽味似茶長  유미사다장

한가해지자 이끼 빛깔 한결 푸르고
낮잠을 깨자 메미 소리 더 서늘하다.


쓸쓸하여 안석에 기대 앉았더니
적막한 게 선방이 따로 없구나.


산수가 시름을 잊게 하는 물건이요
문장이 늙음을 물리치는 처방이군.


마음에는 담아둔 일 하나도 없어
그윽한 맛이 차 맛처럼 길고 길어라.



숙종시대의 저명한 문인 담헌(澹軒) 이하곤(李夏坤.1677~1724)이

무더운 여름 하루를 호젓하게 보냈다.
한가로운 때에는 평소와 다른 감각이 살아난다.
한가로워 지자 이끼조차도 더 푸른 빛깔이 되고, 낮잠에서 깨자 매미

소리가 더 시원스럽게 들린다.
할 일도 없고 찾는 이도 없어 선방처러 집안이 적막하다.
쓸쓸할 때는 안석에 비스듬히 기대 산과 물을 바라본다.
남들은 술로 시름을 잊지만 내게는 산수가 망우물(忘憂物)이다.
무료할 때는 글을 읽는다.
남들은 불로장생을 바라 약을 먹지만 내게는 글 읽는 것이 그보다 나은

처방이다.
오늘따라 짐스럽게 마음을 짓누르는 일이 하나도 없다.
차 맛을 음미하듯 한가로운 맛이 호젓하기만 하다.

출처/조선일보 가슴으로 읽는 한시 안대희 (성균관대학 교수.한문학)


'漢詩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病中自慰(병석의 나를 위로하다  (0) 2016.10.01
팔월십오일(추석에)  (0) 2016.09.10
踏雪 눈을 밟으며  (0) 2016.06.21
밤에 앉아 옛이야기 하다  (0) 2016.06.20
봄날에 그대 기다리네  (0) 2016.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