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五日
豪氣凌雲處 호기능운처
那知天地寬 나지천지관
病難投我筆 병난투아필
老不掛吾冠 노불괘오관
秋與鄕情動 추여향정동
夜從廚語闌 야종주어란
焚香如降格 분향여강격
妻子願團欒 처자원단란
음력팔월십오일
호기가 하늘을 찌르던 시절에야
천지가 넓은 줄 알 수나 있었겠나
병들어도 내 붓을 던지기는 어렵고
늙어도 관모를 못 벗어 던지겠네.
가을은 고향 생각을 데리고 찾아오고
밤은 부엌의 말 소리를 따라 깊어가네.
향 사르자 신명이 강림하신 모양이니,
처자식과 단란하게 살도록 살펴주소서.
고려 밀의 문호 목은(牧隱)이색(李穡.1328~1396)이 1380년
8월15일 추석에 썼다.365일 수많은 날의 하루8월15일이 되었다.
하지만 365분의1이 아닌 아주 특별한 날이라 그런지 그동안 살아온
인생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젊은 시절 능력과 패기를 믿고 세상
넓은 줄 모르고 천방지축 살아왔지만 쉰 살을 넘기고 보니 몸은
늙고 병이 들었다.그렇다고 붓을 던지거나 벼슬 자리를 호기롭게
팽개치고 한가롭게 요양이나 할 처지가 못 된다.
오늘은 추석, 가을은 언제나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다가오고,
부엌에서 음식 차리며 식구들이 주고받는 대화 속에 밤은 깊어 간다.
제사를 올리고 나자 조상의 신령이 강림하여 찾아온 느낌이 든다.
다른 소망은 없다. 처자식과 함께 단란하게 살아갈 수만 있다면
만족이니 신령들께서는 보살펴 주셨으면 좋겠다.
<옮겨 온 글>
출처/조선일보 가슴으로 읽는 한시중에서
'漢詩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의(가을 뜻) (0) | 2016.10.08 |
---|---|
病中自慰(병석의 나를 위로하다 (0) | 2016.10.01 |
閑居(한가로운 거처) (0) | 2016.08.13 |
踏雪 눈을 밟으며 (0) | 2016.06.21 |
밤에 앉아 옛이야기 하다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