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日待人 (춘일대인) 봄날에 그대 기다리네
岸有垂楊山有花 (안유수양산유화) 강가에는 수양버들 산에는 꽃이피는데
離懷悄悄獨長蹉 (이회초초독장차) 이별에 속 태우며 홀로 한숨 토해 내네.
强扶藜杖出門望 (강부여장출문망) 지팡이에 겨우 기대 문밖 나서 바라보니
之子不來春日斜 (지자불래춘일사) 그대는 오지 않고 봄날은 저물어가네.
조선 선조 임금 때 시인 송희갑(宋希甲)은 어려서부터 신동 소리를 들었고, 대시인
석주(石洲)권필(權韠)에게 배웠다.
안타깝게도시집이 전해지지 않고 집안 사람인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이
전해준 시 몇수가 선집에 실려 있다.
임과헤어진 처자 마음이 되어 이별을 노래 했다.
봄날이 되어 여기저기 녹음이 짙어지고 깊은 산중에도 꽃이 피었다.
모든 것이 봄을 즐기는 철에 나는 오히려 혼자다.
함께하고 싶은 사람은 멀리 떠나 이별의 아픔에 속을 태우며 한숨만 내쉰다.
아픔이 깊어 몸도 가누지 못할 지경이나 겨우 지팡이에 몸을 의지하여
문밖을 나셨다.
마냥 기다려도 그 사람은 오지 않고 따사로운 해는 뉘엿뉘엿 기운다.
내 청춘도그렇게 속절없이 흘러간다.
<옮겨 온 글>
출처/조선일보 글/ 안대희(성균관대학한문학교수)
'漢詩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踏雪 눈을 밟으며 (0) | 2016.06.21 |
---|---|
밤에 앉아 옛이야기 하다 (0) | 2016.06.20 |
기옹(碁翁) (0) | 2016.03.26 |
새해를 맞아 (新年得韻) (0) | 2016.01.02 |
적벽가 (0) | 2015.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