逍遙
時日逍遙濁酒甁 시일소요탁주병
江皐捿托白茅亭 강고서탁백모정
石田種麥秋無雨 석전종맥추무우
弊笱收魚夜有星 폐구수어야유성
匹士文章多失意 필사문장다실의
野人生理合勞形 야인생리합로형
琴絃耿耿要誰聽 금현경경요수청
流水泠泠虛翠屛 유수령령허취병
취송(醉松) 이희사李羲師(1728~1811)
서성대는 세월
막걸리 병 잡은 채로 서성대는 세월 속에
강 언덕 초가집에 이 한 몸 붙이고 사네
자갈밭에 보리를 심었으나 가을까지 비 안 오고
낡은 통발에 물고기 잡으려니 밤하늘엔 별이 총총하네.
힘없는 선비라서 글은 많이 실의에 젖어있고
야인의 처지로는 육신을 써서 생계를 꾸려야지.
간절하게 거문고 탄들 누구에게 들려주랴
흐르는 물소리만 푸른 산 속에 허허롭네.
여기도 저기도 굳게 발붙이지 못한 채 서성대는 인생에
대한 갈등이다. 강 언덕 초가집에 살고는 있으나 방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자주 술에 기댄다. 농부라 하자니 농사일은
서툴고, 선비라 하자니 그 노릇도 만만치 않다. 드 높은 꿈과
하찮은 생계 사이에 서성대며 가을날 이 밤 실의에 젖는다.
거문고로 절실한 속내를 펼쳐 위로라도 받고 싶지만 누가
들어줄까? 넋두리인 듯 물소리만이 빈산을 가득 채우고 있다.
<옮겨 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