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물생심(見物生心)이란 말이 있습니다.
즉 물건을 보면 어떤 마음이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마음이 일어나는 원리를 세부적으로 살펴봅니다.
6가지 감각기관이 6가지 대상을 접촉하면 6가지 마음이 일어납니다.
6가지 감각가관이란 눈, 귀, 코, 혀, 몸, 뇌가 6가지 대상인 빛, 소리, 냄새,
맛, 닿임, 생각과 교류하면 6가지 의식인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의식이 생겨납니다.
이 식(識)은 아는 마음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눈(안)으로 빛을 보고 어떤 물체인지 판단하는 것을 안식이라 합니다.
귀(이)로 소리를 듣고 어떤 소리인지 판단하는 것을 이식이라 합니다.
코(비)로 냄새를 맡고 어떤 냄새인지 판단하는 것을 비식이라 합니다.
혀(설)로 맛을 보고 어떤 맛인지 판단하는 것을 설식이라 합니다.
몸(신)로 감촉을 느끼고 어떤 감촉인지 판단하는 것을 신식이라 합니다.
뇌(의)로 생각을 일어남을 알고 어떤 생각인지 판단하는 것을 의식이라 합니다.
그리고 이 마음이 일어나는 단계를 수(受), 상(相), 행(行), 식(識)으로 나눕니다.
수(受)는 <느낌>으로 좋은 느낌, 싫은 느낌,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이 있습니다.
상(相)은 어떤 느낌이 들면 즉시 좋은 생각 나쁜 생각의 <이미지>가 떠오르는
것을 말합니다.
행(行)는 좋은 생각이 들면 우호적인 의지나 행동을, 나쁜 생각이 들면 적대적인
<의지나 행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식(識)은 행(行)의 결과 종합적으로 <가치판단하고 기억>으로 저장하는 마음을
말합니다.
어떤 사람이 상대가 하는 화내는 말을 듣고 나쁜 감정(수/受)을 일으켜
상대가 나를 욕하고 싫어하고 적대적으로 대함을 연상(상/相)하여
즉시 나도 욕을 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욕을 하는 행위(행/行)를 하고
그 결과 그는 나를 욕하는 나쁜 사람으로 판단하고 기억으로(식/識)저장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합니다.
최종결과 그것을 기억으로 하여 마음속에 저장하는 것을 업(業)이라 합니다
<옮겨 온 글>
출처/불교인드라망/남광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두 - `우리를 태우고 극락정토로 가는 반야용선 (0) | 2018.12.13 |
---|---|
"미충" 이나 "태말충" 같이 살지말자!! (0) | 2018.12.09 |
화를 내면 이렇게 된다 (1) | 2018.09.16 |
삶은 매우 짧고 배울 것도 많다. (0) | 2018.09.09 |
마음이 짓는다(一切唯心造) (0)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