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셔온 글 모음 87

전국 유명한 배롱나무

배롱나무는 자미화(紫薇花), 백일홍(百日紅), 만당홍(滿堂紅)이라 하여 약재로 활용한다. 흔히 정원이나 공원 등에 심어 꽃을 즐기기도 한다. 꽃말은 ‘부귀, 수다스러움, 웅변, 꿈, 행복, 헤어진 벗에게 보내는 마음’이다. 배롱나무는 불법(佛法) 신앙의 육불(六不)에 견주기도 한다. 육불 이란 삶(生)과 멸(滅), 더러움(垢)과 깨끗함(淨), 불어남(增)과 줄음(減)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세상에는 영원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있다가도 없고 없다가도 있는 것이 세상의 이치라는 것이다.

폭우 속 노점 할머니

장마철만 되면 깊은 한숨을 쉬며 비가 내리는 하늘을 멍하니 바라보는사람들이 있습니다.최근 SNS에 올라온 한 장의 사진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고 있습니다.억수 같은 장맛비가 쏟아지는 도로변에 몸을 웅크린 한 할머니는 팔리지 않는채소 바구니 앞에 앉아 하염없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는 사진입니다.하지만 그 주변에는 사람은커녕 지나가는 자동차조차 보이지 않는 텅 빈길거리였습니다.이 할머니가 빗속에도 앉아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사진을 본 많은 사람들이‘내가 채소를 다 사드리고 싶다’‘돌아가신 어머니 생각나서 마음이 아프다’‘꿋꿋한 모습이 존경스럽다’면서 할머니를 걱정하고 위하는 따뜻한 댓글이많았습니다. 어느 날 냉장고 안에 시든 상추가 가득 담겨 있는 검정 비닐봉지를발견한 적이 있었습니다.알고 보니 고등학..

세월과 인생은 변하는 것 뿐이다

세월은 가는 것도, 오는 것도 아니며,시간 속에 사는 우리가 가고 오고 변하는 것일 뿐이다. 세월이 덧없는 것이 아니고,우리가 예측할 수 없는 삶을 살기 때문에 덧없 는 것이다.해가 바뀌면 어린 사람은 한 살 더해지지만,나이든 사람은 한 살 줄어든다.  되찾을 수 없는게 세월이니 시시한 일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순간순간을 후회 없이 잘 살아야 한다.인간의 탐욕에는 끝이 없어 아무리 많이 가져도 만족할 줄 모른다.행복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다. 가진것 만큼 행복한 것이 아니며,가난은 결코 미덕이 아니며,' 맑은가난'을 내세 우는 것은 탐욕을 멀리하기 위해서다.가진 것이 적든 많든 덕을 닦으면서 사는 것이 중요하다.가능하다면 잘 살아야 한다.돈은 혼자 오지 않고 어두운 그림자를 데려오고,재산은 인연으로..

우리 장례문화는 하얀색 상복을 입었다

우리 민족은 백의민족(白衣民族)이다. 우리는 예로부터 흰색을 숭상하고 흰옷을 즐겨 입는 백의호상(白衣好尙)의 전통을 이어 왔기에 백의민족이라 하였다. 흰 옷을 입는 풍습은 고대에서부터 이어져 온 전통이며, 빛을 숭상하고 태양을 숭배하는 제천(祭天) 사상과 여러 종교의 영향이 크다. 그리하여 우리는 장례 풍습으로 수천 년 동안 하얀색 상복을 입었다. 그런데 지금 우리 장래 문화는 유감스럽게도 일제 시대의 영향으로 왜색 문화 일색이다. 밝고 청정해야할 장례식장이 어둡고 칙칙한 분위기가 되어 버렸다. 장례는 고인의 마지막 여정으로 밝고 환한 빛을 비추는 식장이다. 장례식 때 상주가 검은색 상복을 입으면 영가(靈駕: 죽은 사람의 넋)는 상주를 저승사자로 인식하므로 흰색을 입어야 한다.(능행스님: 정토자재요양병원..

인생은 실패(失敗)해도 좌절(挫折) 하지 않는데 있다

인생은 실패(失敗)해도 좌절(挫折) 하지 않는데 있다 봄오기 직전이 가장 추운법이고, 해뜨기 직전이 가장 어두운 법입니다.당신의 습관을 최대한 다스리십시요.그렇지 않으면 그것들이 당신을 지배하게 됩니다.떠날때에 우리 모두는 시간이라는 모래밭 위에 남겨 놓아야 하는 발자욱을기억해야 합니다.산속의 적은 물리치기 쉬워도 마음속의 적은 그렇지 못합니다.남에게 속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자신이 남보다 영리하다고 굳게 믿는 것입니다.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지요.그 하나는 자신을 죄인으로 여기는 옳은 사람과 또 다른 하나는 자신을옳다고 여기는 죄인입니다.우리가 기쁨 가운데 있을때 하나님은 속삭이시지만 우리가 고통가운데 있을때그분은 크게 외치십니다.아무리 곤경에 처해도 당황하지 마십시요.사방이 다 막혀도 위쪽은..

사과 제발 아무거나 사지 마세요! 과일가게 사장님이 알려주는 사과 고르는 법

사과는 상품에 따라 맛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잘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실패하지 않을 사과 고르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요즘은 과일을 살 때 포장지에 brix를 나타내는 표시가 있어 단맛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irx가 높다고 해서 사과의 식감이나 맛이 모두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색이 빨간 것첫 번째는 바로 사과의 "색상"입니다. 보기 좋은 음식이 먹기도 좋다고 하는 말처럼, 푸른색이 도는 것보다 빨갛게 익은 것이 맛이 좋은 사과입니다 또한 사과 표면을 보면 어떤 것을은 노란빛의 점 같은 것이 많이 찍혀 있습니다. 이는 햇빛을 받을 때 생기는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이 노란 반점이 많을수록 달고 맛있는 사과입니다.겉 표면이 까칠까칠한 것 두 번째는 바로 "표면의 질감"입니다..

만나는 사람마다 스승으로 알라

세계 최대의 문학자로 꼽히는 괴테(Goethe)를 종합적 천재라 일컫는다.괴테의 경구집(警句集)에 나오는 처세훈(處世訓)에 즐거운 생활을 하려거든지나간 일을 투덜거리지 말 것좀처럼 성을 내지 말 것언제나 현재를 즐길 것특히 남을 미워하지 말 것미래를 신에게 맡길 것이라고 했다. 83년의 긴 생애를 산 그의 생가는 프랑크루르트 암마인에 있다.관광객들은 괴테의 생가를 꼭 방문해 보고 가기 때문에 너 나 할 것 없이 강한 호기심과 깊은 감동속에 생가를 찾는다.그는 하늘이 낸 위대한 인물이다.우리는 어떻게 하면 즐거운 인생을 살 수 있는가?괴테는 그의 인생훈을 다섯가지로 요약했다. 첫째 : 지나간 일을 후회하지 말 것잊어버려야 할 것은 깨끗이 잊어버려라.과거는 잊고 미래를 바라보라. 둘째 : 될 수록 성을 내지..

정신적인 요인이 장수의 비결(秘訣)이다.

최근 의학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정신적 요인이 건강장수와 크게 관계된다는것이 발견되었다.그 중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생명력에 대한 사람의 자신감이다.노인들에게 질병이 있을수 있지만 적당 한 치료를 받고 정신상태가낙천적이면 많은 병을 고칠 수 있다. 당장 완전히 고칠 수 없는 병이라고 하여도 환자가 자신감만 가지면 병이 있는상태에서도 수명을 연장할수 있다. 반대로 비관 실망하거나 두려워 하거나 빨리 병이 고쳤으면 하는 조급한심리를 가지고 있으면 병을 고치는데 아무런 도움도 안된다."병을 고치는데 30%는 약에 달려있고 70%는 정신상태에 달려있다"는말이 있다. 의학적인 각도에서 보면 우려, 비관,조급성등 좋지 못한 정서는인체의 신경계통과 내분비계통,면역계통에 영향을 주어 그 기능이 약화되거나 문란해지게 할 ..

나 먼저 가네

인생의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오랜 세월을 살아온 두 남자가 있었습니다.사는 지역이 다르다 보니 자주 만나지는 못하더라도 늘 생각나고 보고싶은 형제 같은 소중한 친구였습니다.어느새 그들은 머리가 새하얗게 변했고,거동도 불편해진 쇠약한 노인이 되었습니다.그러던 어느 날, 한 친구에게서 전화가 걸려 왔습니다."이보게 친구, 나 먼저 가네."깊은 여운을 남기는 친구의 말에 전화를 받은 친구는 아무 말도 못 하고그저 눈물만 흘렸습니다.친구의 이 말을 들은 노인은 그 자리에 그대로 앉아 아무 말도 못 하고그저 눈물만 흘렸습니다.그리고 그 전화를 끝으로 몇 시간 뒤,친구의 자녀들로부터 아버님이 운명했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이 세상과 작별할 시간이 되었다는 순간,소중했던 친구의 '먼저 가네'라는 작별 인사 속에는 그동안..

깨어 있음

삶은 강처럼 계속해서 흘러가는 것이다.새로운 물길이 생기고 낯선 땅으로 흘러 들어간다.산에서 계곡으로, 계곡에서 평원으로,그리고 평원을 가로질러 강물은 마침내 바다에 도달한다.이 강물처럼 삶도 끝없이 흘러간다. 헤라클레이토스는 ‘똑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고 했다.이 말은 전적으로 옳다. 강은 항상 흐른다.그대가 두 번째로 발을 담글 때 그대의 발에 닿는 강물은 이미 다른 물이다. 사실은 똑같은 강물에 한번 발을 담그는 것도 불가능하다.그대의 발이 표면에 닿을 때 물은 그 밑바닥에서 흐르고 있다.그대의 발이 더 깊이 들어갈 때에 표면의 물은 흐르고 있다.발이 밑바닥에 닿을 때까지 그렇게 많은 물이 흘러갔다.그것은 똑같은 물이 아니다.그러므로 똑같은 강물에 한번이라도 발을 담그는 것은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