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사는 주나라를 망친유왕(幽王)의총 희(寵姬)다.
우리에게는 유왕이 포사를 웃게하려고 거짓 봉홧불을 자주올려 제후들을
모이게 하다가 정작 견융(犬戎)이 쳐들어왔을 때는 봉홧불을 올렸어도
제후들이 오지 않아 왕은 죽고 포사는 포로가 된 일로 알려져있다.
이솝 우화에 나오는 양치기 소년의 교훈과도 통한다.
공자는 자신이 편집한 ‘시경(詩經)’을 관통하는 정신을 사무사(思無邪),
생각 부터 그릇됨이 없어야 한다고했다.
그리고 ‘시경’300여수를 주제 별로 정리하면 수신제가치국평천하
(修身齊家治國平天 下)에서 벗어 나는 것이 하나도 없다.
그중 대아(大雅) 첨앙(瞻찺) 편은 유왕과 포사 그리고 두 사람을 둘러싼 환관과
아첨꾼들이 나라를 어지럽게 함을 풍자 한시다.
다소 길어 중요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저하늘 우러러 보니[瞻찺] 나에게 은혜를 베풀지 않는구나….
나라가 안정되지 않으니 선비와 백성들이 이에 병들었도다….
해충이 해치고 병들게하니 백성들은 편안 할 수가 없네….
”(제1장) “똑똑한 지아비[哲夫] 성(城)을 이루었다면 똑똑한 지어미[哲婦] 성을
기울게하는구나/
아름다운 저똑똑한 지어미 올빼미가 되고 솔개가 되도다/
지어미가 긴혀를 내두름이여 오직 위태로움에 이르는 사닥다리로다/
난(갺)은 하늘에서 내려온 것이 아니라 부인에게서 생겨났도다/
교화도 안 되고 가르침도 행해지지 않는 것,
이는 오직 부인과 내시 같은 신하들 때문이니라
”(제2장) 풀이에 따르면 “올빼미가 되고 솔개가 되도다”라는 말은 대개
말이 많아서 여기 저기로 퍼져간다는 뜻이다.
“사람을 곤궁하게 만들고 해치고 그릇 되게 하여 중상모략으로 시작해 배반으로 끝마치니…
지어미에게는 공사(公事)가 없거늘 누에치고 베짜는일을 손에서 놓아 버렸는가.”
(제4장) 그러면 백성들 마음은 어떠 했을까?
“사람이라고 이를만한 이가 없으니 마음의 근심이로다.”
<조선일보에서 옮김 -경제사회연구원사회문화센터장>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스 아미 나이프 (6) | 2024.11.29 |
---|---|
그때 제대로 사과했다 (0) | 2024.11.28 |
쉴 때는 쉬어도 됩니다 (0) | 2024.11.27 |
'비교지옥'을 끝내는 적당한 삶 (0) | 2024.11.25 |
쌀쌀해진 날씨, 무거운 이불이 숙면에 도움된다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