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의 애이통제(哀李統制)
한산도가 어디에 있는가(閑山島在何處·한산도재하처)
큰 바다 가운데 한 점 푸르네(大海之中一點碧·대해지중일점벽)
고금도는 어디에 있는가(古今島在何處·고금도재하처)
아득한 남쪽 바다 한 터럭이 비껴있네(渺渺南溟橫一髮·묘묘남명횡일발)
당시에 백번 싸운 이 장군은(當時百戰李將軍·당시백전이장군)
한 손으로 하늘 가운데의 벽을 붙잡았네(隻手扶將天半壁·척수부장천반벽)
고래를 모두 죽이니 피가 바다에 가득하고(鯨鯢戮盡血殷波·경예육진혈은파)
치솟은 화염이 풍이(바다의 신)의 소굴을 다 태웠네(烈火燒竭馮夷窟·열화소갈풍이굴)
공이 높은데도 참소와 질투를 면하지 못하니(功高不免讒妬構·공고불면참투구)
힘써 싸우기를 꺼리지 않아 몸을 나라에 바쳤네(力戰不憚身循國·역전불탄신순국)
‘풍이(馮夷)’란 동양 신화에 등장하는 물의 신 하백(河伯)을 말한다.
시의 초고는 안동 풍산유씨 충효당이 소장한 ‘대통력(大統曆)’의 무술(戊戌)조
11월과 12월 사이 여백에 적혀 있다.
관상감에서 발행한 ‘대통력’은 임진왜란 당시 사용한 역서(歷書)다.
자신과 인연이 깊었던 이순신의 전사를 나라에 목숨을 바친 ‘순국’이라 애도하면서,
두 사람 다 승전의 기쁨을 누리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절절하게 드러냈다.
특히 9행의 ‘공이 높아 참소와 질투를 면하지 못하니’에서는 삭탈관직당한
자신의 처지를 빗댄 감정이 읽힌다.
유성룡은 훗날 고향에서 집필한 ‘징비록’에서 이순신이 전사한 노량해전 당시의 상황을 기록했다.
이 시는 ‘이충무공전서’ 권12와 ‘서애집’ 권2에도 수록됐지만 마지막 7자가 빠져 있었고,
2015년 서애기념사업회의 ‘국역 류성룡시’에 번역됐으나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이 번역에선 마지막 행의 ‘循國’을 ‘殉國’으로 잘못 판독했었다,
조선일보에서 옮겨 옴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평의 땅 (0) | 2021.04.22 |
---|---|
고혈압환자들이 약 없이 혈압 낮추는 방법5가지 (0) | 2021.04.17 |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동물 세계의 숨은 이야기 (0) | 2021.03.04 |
초콜릿 걸 (0) | 2021.02.16 |
무엇이 성공인가?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