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한 그 민심이 그리워라. 아래글은 펄 벅(Mrs. Pearl Buck's)
여사의 한국 체험기입니다
장편소설 대지(大地)로 1938년 노벨 문학상을 탄 펄벅(Mrs. Pearl S.
Buck, 1892~1973)여사가 1960년 처음으 로 한국을 방문했다.
그녀가 慶州 방문 시 목격한 광경이다.
해질 무렵, 지게에 볏단을 진 채 소달구 지에도 볏단을 싣고 가던 농부를 보았다
펄벅은 지게 짐을 소 달구지에 실어 버리면 힘들지 않고 소달 구지에 타고 가면
더욱 편할 것이라는 생각에 농부에게 물었다
"왜 소달구지(an ox cart)를 타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농부가 말했다. “에이! 어떻게 타고 갑니까
저도 하루 종일 일했지만, 소도 하루 종일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당시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지만, 펄벅은 고국으로 돌아간
뒤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광경이었다고 기록했다"
"서양의 농부라면 누구나 당연하게 소달구지 위에 짐을 모두 싣고,
자신도 올라타 편하게 집으로 향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농부는 소의 짐을 덜어주려고 자신의 지게에 볏단을 한 짐
지고 소와 함께 귀가하는 모습을 보며 짜릿한 마음의 전율을 느꼈다."고
술회(述懷, ① 말로 나타내다.②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말함.)했다
늦가을 감이 달려있는 감나무를 보고는 “따기 힘들어 그냥 남긴 건가요?”
라고 물었다
겨울새들을 위해 남겨 둔 “까치밥 ”이라는 설명에 펄 벅 여사는 감 동했다
“내가 한국에서 가 본 어느 유적 지(遺跡地, a historical site)나
왕릉(王陵)보다도 이 감동의 현장을 목격한 하나만으로도,
나는 한국에 오기를 잘했다고 자신한다”고 기록했다
감이나 대추를 따면서도 '까치밥' 은 남겨 두는 마음,
기르는 소를 내 몸처럼 사랑하는 마음,
작은 배려를 몸으로 실천하던 곳이 우리나라였다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 사람은 한 뿌리임 을 알았다.
그래서 봄철 씨앗을 뿌릴 때도 셋을 뿌렸다.
하나는 하늘(새)에게, 하나는 땅(벌레) 에게,
나머지 하나는 나에게, 서로 나눠 먹는다는 뜻이다
소가 힘들어 할까봐 짐을 덜어 주려는 배려,
이렇게 깊고 넓은 배려에 펄 벅 여사는 감동했다.
= 華谷·孝菴의 좋은글 중에서 =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사는거 별거 없더라 (0) | 2022.08.24 |
---|---|
앞에서 못 할말 뒤에서도 하지말자 (0) | 2022.08.18 |
감사하다는 말은 '기적의 언어'다 (0) | 2022.08.13 |
장수(長壽)가 좋기는 하나 (0) | 2022.07.19 |
恩惠의 祈禱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