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현(柳觀鉉 1692 ~1764)은 1759년 필선(弼善)의 직책으로
사도세자를 30여일간 서연(書筵)에서 혼자 모셨던 인물이다.
'주역'을 가르쳤다. 사도세자가 죽자 여섯차례의 부름에도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벼슬에 있을 때는 흉년의 기민(饑民) 구제 등 볼만한 치적이 적지 않았다.
그가 세상을 뜨자 김낙행(金樂行.1708~1766)이 제문을 지어 보냈다.
그 중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 두가지(難者二事)를 꼽은 대목을
간추려 읽는다.
又竊論之,難者二事,先貧後富,人鮮好義,甚或惜金,
以弟喪歸,聞公少時,蔬糲充飢,勤其四體,旣有旣完,
窮士得意,鮮守平素,有尹京兆,不念龍具,方公仕宦,
依舊田家,馹騎在門,園有農歌,還山之期,指以播麥,
談柔說麻,野老爭席,風致超然,可警浮薄,是公之高,
人或不察
또 가만히 논하려니 어려운 것 두 가지라.
가난하다 부자 되면 의리 좋아하는 이 드물다.
심하게 돈 아끼다 아우 죽여 돌아오지.
들으니 공께서 젊었을 때 푸성귀와 맵쌀로 허기 채워,
부지런히 힘을 써서, 살림을 갖춰졌다네.
궁한 선비 뜻 얻으면 평소 모습 지키는 이 드물다네.
공이 한성판관이었을 때 가난을 괘념치않았지.
벼슬길에 나가서도 농가에 그대로 살았고,
역말이 문에 서도 농사 노래 들렸었네.
산으로 갈 기약 두어,보리 파종시키셨고, 뽕과 삼을 말할 적엔
시골 농부 앞다퉜지.
풍치가 초연하여, 경박한 이 경계로 삼을 만했네.
이것이 공의 우뚝한 점. 사람들은 잘 모르지.
이 제문에서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로 꼽은 두 가지는,
'먼저 가난하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면 의리를 좋아하는 이가 드물고
(先貧後富,人鮮好義)' 궁한 선비가 뜻을 얻으면,평소하던 대로 지키는
이가 드물다.(窮士得意,鮮守平素)'는 것이다.
없다가 재물이 생기면 거들먹가리는 꼴을 봐줄 수가 없다.
낮은 신분에서 높은 지위에 오르게 되면 눈에 뵈는 것이 없어 못 하는
짓이 없다.
결국은 이 때문에 얼마 못 가서 원래 자리로 돌아가고 만다.
사람이 한결같기가 참 쉽지 않다.
글 속에 돈을 아끼려다 동생을 죽여 돌아온다는 말은 전국시대 월나라
도주공(陶朱公)의 고사가 따로 있다.
<옮겨 온 글>
이 시대의 졸부들과 나라에 해로운 일만 골라서 하고 있는 고위공직자들이
진정으로 새겨 들었으면 하는 글이라 생각되어 옮겨봅니다.
출처/조선일보 정민의世說新語
'정민의世說新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肅殺收斂 (0) | 2016.10.26 |
---|---|
영상조파(影上爪爬) (0) | 2016.10.19 |
의관구체(衣冠狗彘) (0) | 2016.07.28 |
팔십종수(八十種樹 (0) | 2016.07.15 |
심자양등(深者兩等) (0) | 2016.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