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世說新語

持盈守謙(지영수겸)

highlake(孤雲) 2015. 1. 22. 13:10

 


貧賤生勤儉(빈천생근검) 勤儉生富貴(근검생부귀)
富貴生驕奢(부귀생교사) 驕奢生淫佚(교사생음질)
淫佚生貧賤(음질생빈천) 六道輪回 (육도윤회)



빈천은 근검을 낳고,근검은 부귀를 낳는다.
부귀는 교만과 사치를 낳고,교만과 사치는 음란함을 낳으며,
음란함은 빈천을 낳는다.여섯가지 길이 쳇바퀴처럼 돈다. 
                               - 오종유규/진홍모 -

 

名門右族(명문우족), 莫不由祖先忠孝勤儉(막불유조선충효근검),

以成立之(이성입지), 莫不由子孫頑率奢傲(막불유자손완솔사오),

以覆墜之(이복추지), 成立之難(성립지난),如升天(여승천),

覆墜之易(복추지이), 如燎毛(여요모).


"훌륭한 가문은 조상의 충효와 근검에 말미암아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고,
자손의 둔하고, 경솔하고, 사치하고, 오만함에 말미암아 엎어지지 않음이 없다.

세우기가 어려운 것은 하늘을 오르는 것 같고,

뒤집혀 실추하기 쉽기는 터럭이 화톳불에 타는 것과 한가지다."

                          - 당나라 때 유빈(劉玭)이 자손에게 남긴 경계다 -

 

富者怨之府(부자원지부),貴者危之機(귀자위지기),

此爲富貴而處之不以其道者言之也(차위부귀이처지불이기도자언지야).

乃若處榮利而不專(내약처영리불전),覆盛滿而知止(복성만이지지),

持盈守謙(지영수겸),何怨府危机之有哉(하원부위궤지유재).

                     

"부는 원망의 곳집이요,귀는 위태로움의 기틀이다.

이는 부귀하면서도 도리에 어긋나게 처신하는 사람을 두고 한 말이다

만약 영리에 처해서도 거기에만 골몰하지 않고 가득찬 상태에 있으나 그칠 줄 알아

가득함을 유지하면서 겸손을 지킨다면 원망의 곳집이니

위태로움의 기틀이니 하는 말이 어찌 있겠는가?"

                                - 청담필담/육수성(명나라) -

 

===========================================================

빈천에서 근검으로 노력한 결과 부귀를 얻었다.
부귀를 얻고 눈에 뵈는 게 없어 교만과 사치를 일삼았다.
교만과 사치에 취해 방탕에 빠지니 잠깐만에 다시
빈천의 자리로 돌아와 있다. 한때의 부귀는 꿈이었고,
앞뒤로 뼈저린 빈천만 남았다.

지금 내가 누리는 부귀는 다른 사람의 원망과 한숨에서 나왔다.

발밑에는 위기가 늘 도사리고 있다.

'持盈守謙(지영수겸)' 가득참을 유지하더라도 겸손의 뜻을 잊지 않아야만

원망도 위기도 없다.

 

사람이 이 간단한 이치를 자꾸 잊으니까 멀쩡히 잘가던 비행기를 돌려세우고

수억짜리 외제차로 광란의 폭주를 벌여 선대에서 쌓은 것을 실추시키고

나아가 제 몸을 망친다

 

 

 

 

                                                      - 정민의 세설신어 중에서 -       

                   

                                                              <옮겨온 글>

 

 



'정민의世說新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유돈후(溫柔敦厚)  (0) 2015.05.28
爽口作疾상구작질  (0) 2015.05.06
무덕부귀(無德富貴)  (0) 2014.12.20
제자리가 아니면 잡초가 된다  (0) 2014.10.04
老人三反(노인의 세가지 상반되는 점)  (0) 201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