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 모음

모든 사름 空이로다/진각국사

highlake(孤雲) 2017. 12. 12. 10:18



'모든 시름 空이로다'  
                                            / 진각국사 <무의자시집>

久 坐 成 勞 永 夜 中   구 좌 성 로 영 야 중
煮 茶 備 感 惠 無 窮   자 차 비 감 혜 무 궁
一 盃 卷 却 昏 雲 盡   일 배 권 각 혼 운 진
徹 骨 淸 寒 萬 慮 空   철 골 청 한 만 려 공

오래 앉아 피곤한 긴긴 밤
차 끓이며 무궁한 은혜 느끼네
한 잔 차로 어두운 마음 물리치니
뼈에 사무치는 청한(淸寒) 모든 시름 空이로다.


진각국사 慧諶(혜심)은 1178-1234. 스스로 無衣子라고 하고 知訥의 후계자.

成勞;피로하게 됨. 永夜中; 여기에서 中은 平聲으로 가운데 중을 뜻함.

한 밤중을 뜻함. 긴 긴 한 밤중. 備感;느끼게 된다.
卷; 팔을 연거퍼 만다는 뜻. 여러 잔을 마신다는 뜻. 徹;뚫을 철 淸寒;맑고 깨끗한

기운. 萬慮;만가지 생각.  차 생활의 백미, '다시(茶詩)'  불가에서는 수행의 경지

드러내는 방편 되기도......

한 편의 다시(茶詩)는 차를 마시며 느끼는 정취나 차 생활의 즐거움을 함축적

으로 보여준다. 많은 차인들이 다시를 쓰고 또 선현들의 다시(茶詩)를 애송하는

이유다.

다시(茶詩)란 좁은 의미로는 ‘차’를 주제로 읊은 시를 말한다.
이 때의 ‘茶’는 차의 재배와 제다, 음다(飮茶), 차를 마시는데 필요한 도구들을

아우른다. 불가(佛家)의 스님들이나 사대부, 문인들 사이에서 주로 지어진 茶

詩는 차를 만드는 법과 마시는 법, 찻자리의 정취 등 차 생활을 노래하고 차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이상(理想)을 담고 있어 차 문화사 연구에 큰 자료가 된다.
                            

                                                -혜봉스님-


                                       <옮겨 온 글>

출처/가장 행복한 공부 카폐

'漢詩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연설/한용운  (0) 2017.12.17
마음과 짝하지 마시게  (0) 2017.12.13
서산대사 出家詩/悟道頌  (0) 2017.12.08
화장세계(華藏世界) / 고경(古鏡)  (0) 2017.12.01
빈배에 달빛만 가득 싣고 돌아 오도다  (0) 2017.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