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때 왕지부(王之鈇)가 호남 지역 산중 농가의 벽 위에
적혀 있었다는 시 네수를 자신이 엮은 '언행휘찬(言行彙纂)'에
실어 놓았다. 주희(朱熹)의 시라고도 하는데 지은이는 분명치 않다.
첫째수
鵲噪非爲喜 작조비위희 鴉鳴豈是凶 아명기시흉
人間凶與吉 인간흉여길 不在鳥聲中 부재조성중
까치 짖음 기뻐할 일이 못 되고,까마귀 운다 한들 어이 흉할까
인간세상 흉하고 길한 일들은 새 울음소리에 있지 않다네.
까치가 아침부터 우짖으니 기쁜 소식이 오려나 싶어 설렌다.
까마귀가 깍깍 울면 왠지 불길한 일이 닥칠 것만 같아 불안하다.
새 울음소리 하나에 마음이 그만 이랬다저랬다 한다.
둘째수
耕牛無宿草 경우무숙초 倉鼠有餘糧 창서유여량
萬事分己定 만사분기정 浮生空自忙 부생공자망
밭 가는 소 저먹을 풀이 없는데, 창고 쥐는 남아도는 양식이 있네.
온갖 일 분수가 정해있건만 뜬 인생이 공연히 홀로 바쁘다.
죽어라 일하는 소는 늘 배가 고프고,빈둥빈둥 노는 창고 속 쥐는
굶을 걱정이 없다.세상일이 원래 그렇다. 타고난 분수가 정해져
있는데 바등바등 뜬 인생들이 궁리만 바쁘다.
애 쓰도 안 될 일을 꿈꾸느라 발 밑의 행복을 놓친 채 한 눈만 판다.
셋째수
翠死因毛貴 취사인모귀 龜亡爲殼靈 구망위각령
不如無成物 불여무성물 安樂過平生 안락과평생
물총새는 깃털 귀해 죽음당하고,거북은 껍데기로 인해 목숨을 잃네.
차라리 아무것도 이루지 않고 편하게 평생보냄이 더 낫겠구나.
물총새는 고운 비취빛 깃털 때문에 사람들이 노리는 표적이 된다.
거북은 등 껍데기로 장식하고 배딱지로 점치려고 사람들이 잡아가
목숨을 잃고 만다.애초에 아무런 지닌것이 없었으면 타고난 제
수명을 다 누릴 수 있었을 텐데.
넷째수
雀啄復四顧 작탁복사고 燕寢無二心 연침무이심
量大福亦大 량대복역대 機深禍亦深 기심화역심
참새는 모이 쪼며 사방 살피고 재비는 둥지에서 딴 마음 없네.
배포 크면 복도 또한 크게 되지만,기심(機心)이 깊고 보면,
재앙도 깊네.
참새와 재비가 먹는데야 얼마나 먹을까? 그래도 살피고 가늠해서
조심조심 건너가니 큰 근심이 없다. 크게 왕창 한탕해서 떵떵 거리고
사는 것이 좋아 보여도 한 순간에 재앙의 기틀을 밟으면 돌이킬 수 없다
출처/조선일보 정민의 세설신어중에서 옮겨온 글
'정민의世說新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구지보(無口之輔) (0) | 2016.04.14 |
---|---|
유산오계(遊山五戒)/정민 (0) | 2016.04.07 |
소림황엽(疎林黃葉) (0) | 2015.11.18 |
세사상반(世事相反) (0) | 2015.11.11 |
군자사요(君子四要) (0) | 201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