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 추현(鄒鉉)의 '수친양로신서(壽친養老新書)'에
노년의 양생을 위한 일곱가지 비결이 보인다.
첫째 : 少言語養眞氣 소언어양진기
말을 적게해서 진기(眞氣)를 기른다.
말수를 줄여야 내면에 참다운 기운이 길러진다.
쉴 새 없이 떠들면 폐의 기운이 소모되어 안에 쌓여야
할 기운이 밖으로 흩어진다.
그 틈을 타 나쁜 기운이 밀려든다.
둘째 : 戒色慾養精氣 계색욕양정기
색욕을 경계하여 精氣(정기)를 기른다.
손사막(孫思邈)이 '정욕을 함부로 하면 목숨은
아침이슬과 같다.(姿其情欲, 則命同朝露也)'라고 했다.
즉 정기를 함부로 쓰는 것은 생명의 뿌리를 흔드는 행위다.
과도한 음양의 접촉을 삼간다.
셋째 : 薄滋味養血氣 박자미양혈기
맛을 담박하게 해서 혈기를 기른다.
기름진 음식은 피를 탁하게 해서 혈관을 막는다.
입에 단 음식이 몸에 해를 끼친다.
채식위주의 식단이 피를 맑게하고 정신을 상쾌하게
깨어나게 해준다.
넷째 : 嚥津液養臟氣 연진액양장기
침을 삼켜 내장의 기운을 기른다.
입천장 위로 혀끝을 천천히 돌리면
진액이 혀뿌리로 고인다. 한참뒤에 이를 삼킨다.
퇴계선생이 열심히 했던
맨손체조 중에도 이 연진(嚥津)이 있다.
침은 소화액을 분비시켜 장의 운동을 활성화한다.
다섯째 : 莫嗔怒養肝氣 막진노양간기
성을 내지 않아 간의 기운을 기른다.
간은 감정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놀라면 간이 철렁하고, 겁없으면 간이 부었다고 한다.
분노의 감정은 간의 기운을 치솟게 해
생체 리듬에 심각한 해를 끼친다.
여섯째 : 美飮食養胃氣 미음식양위기
음식을 알맞게 해서 위장의 기운을 기른다.
미는 좋은 음식을 먹으란 말이 아니라
조화로운 균형을 취하라는 뜻이다.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서
위장의 부담을 덜어주고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
일곱째 : 少思慮養心氣 소사려양심기
생각을 적게 해서 심장의 기운을 기른다.
쓸데없는 뜬 생각,짓누르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지나친 생각은 건강을 해친다.
건강은 균형과 조화에서 나온다.
말은 줄이고 감정은 가라앉힌다. 욕망을 억제하고 생각은 아낀다.
치우침 없이 균형을 잡고,넘치는 것을 덜어 조금 부족한 듯이....
출처/조선일보 정민의 세설신어 중에서 <옮겨 온 글>
'정민의世說新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사요(君子四要) (0) | 2015.10.14 |
---|---|
삼환사실(三患四失) (0) | 2015.10.14 |
却病十法(질병을 물리치는 열가지 방법) (0) | 2015.09.23 |
무익십사(無益十事)/정민 世說新語 (0) | 2015.09.16 |
處世六然(처세육연) (0) |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