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世說新語

오자칠사(惡者七事)

highlake(孤雲) 2018. 4. 1. 11:12



어느 날 공자와 제자 자공(子貢)이 한가한 대화를 나눴던 모양이다.

"선생님께서도 미워하는 게 있으실까요?" "있다마다.

남의 잘못에 대해 떠들어대는 사람(稱人之惡者), 아래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헐뜯는 자(居下流而訕上者), 용감하지만 무례한 자(勇而無禮者), 과감하나

앞뒤가 꼭 막힌 자(果敢而窒者)를 나는 미워한다."

"너는 어떠냐?" 자공이 대답한다. "저도 있습니다. 남의 말을 가로채 알고 있던

것처럼 하는 자( 以爲知者), 불손한 것을 용맹으로 여기는 자(不孫以爲勇者),

남의 잘못 들추는 것을 정직하다고 생각하는 자(訐以爲直者)가 밉습니다."

스승은, 제 잘못이 하늘 같은데 입만 열면 남을 헐뜯는 사람,

제 행실은 형편없으면서 윗사람을 욕하는 사람을 밉다고 했다.

또 무례하게 용감하고, 앞뒤 없이 과감한 자도 싫다고 했다.

압축하면 남 욕하는 사람, 뭣도 모르고 날뛰는 사람이 싫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제자는, 약삭빠르고 잘난 체하는 사람과 건방진 것과 용기를 구분 못 하는 자,

고자질을 정직과 혼동하는 자가 가장 밉다고 대답했다.

스승이 네 가지, 제자가 세 가지, 합쳐서 일곱 종류의 미워할 만한 인간형이

나열되었다.

홍석주(洪奭周)가 그 아우 홍길주(洪吉周)와 얘기를 나누다가 '논어'의 '양화'에

나오는 이 대목을 화제에 올렸던 모양이다.

홍석주가 말했다. "이 일곱 가지 중에는 종종 후세의 군자들이 스스로 명예와

절개가 된다고 뽐내는 것들이 있지." 또 말했다.

"이 일곱 가지 미운 일은 하나하나가 예전 어떤 사람과 꼭 판박이 같군그래."

                  '수여난필(睡餘瀾筆)'에 나온다.


다산은 '논어고금주'에서 원문의 '거하류(居下流)'를 "덕과 재주도 없으면서

몸이 비천하기가 마치 하수구 같은 것을 말한다고 풀이했다.

(謂無德藝, 身卑如汚渠)


또 "남의 악에 대해 말하는 것은 마음이 험한 것이고,

하류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헐뜯는 것은 질투이다라고 덧붙였다.

(稱人之惡者, 險也. 居下流而訐上者, 妬也)"

제 허물은 못 보고 남 말하는 것이 늘 문제다.

비방과 솔직을 착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무식한데 용감하기까지 하면 답이 없다. 입단속이 먼저다.



                                     - 조선일보 오피니언 중에서 -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8/2018032803660.html

'정민의世說新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안첩공(瞬眼輒空)  (0) 2018.11.08
세척진장(洗滌塵腸)  (0) 2018.06.21
오과지자 (五過之疵)  (0) 2018.03.22
고금삼반(古今三反)  (0) 2018.03.15
부모가 바르게 사는 일  (0) 20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