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만의 웃음(獨笑) - 茶山丁若鏞
有粟無人食 유속무인식
양식 많은 집은 자식이 귀하고
多男必患飢 다남필환기
아들 많은 집엔 굶주림이 있으며,
達官必?愚 달관필준우
높은 벼슬아치는 꼭 멍청하고
才者無所施 재자무소시
재주 있는 인재는 재주 펼 길 없다.
家室少完福 가실소완복
완전한 복을 갖춘 집 드물고,
至道常陵遲 지도상릉지
지극한 도는 늘상 쇠퇴하기 마련이며,
翁嗇子每蕩 옹색자매탕
아비가 절약하면 아들은 방탕하고,
婦慧郞必癡 부혜랑필치
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은 바보이다.
16년간 유배생활을 한 강진
月滿頻値雲 월만빈치운
보름달 뜨면 구름 자주 끼고
花開風誤之 화개풍오지
꽃이 활짝 피면 바람이 불어대지.
物物盡如此 물물진여차
세상일이란 모두 이런 거야.
獨笑無人知 독소무인지
나 홀로 웃는 까닭 아는 이 없을걸.
유배지에서 직접 새겼다는글
조선 정조시대 실학자 정약용(1762~1836) 선생께서
1804년 유배지 강경에서 쓰셨다는 시조 '독소(獨笑)'입니다.
250여 년 전의 사회풍자 내용이지만
지금의 세태(世態)를 보는 것만 같습니다
-----------------------------------------------
정약용 업적
정약용은 실학의 대가로서 당시 실학을 정리하고 집대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우리나라 실학의 대표주자로 떠오르게 된다.
정약용이 한 업적은 정말 많다.
조선시대 최고의 학자라고 불리는 것도 다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것을 보면 모두 공통점이 있다. 다 실학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정약용은 전통적으로 중농학파였다. 즉 농사를 중시하는 학자였는데,
이러한 그는 북학파라고 불리는 중상학파 또한 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당시 실학을 모두 아우름으로서 그 가치를 더욱 빛나게 한다.
초4책엔, 약500여권의 책을 만들었고 조선사회를 바꾸는데 기여하였다.
출처 :양재클럽(Y-Club) 원문보기▶ 글쓴이 : 죽림
<옮겨 온 글>
'漢詩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밝은 달은 촛불 되어/초의스님 (0) | 2018.01.23 |
---|---|
날마다 좋은 날/무문선사 (0) | 2018.01.23 |
獨坐敬亭山 징팅산에 홀로 앉아/이백 (0) | 2018.01.16 |
陋室銘(누실명)/허균 (0) | 2018.01.15 |
초겨울/회제(晦齊) 이언적(李彦迪, 1491~1553)詩 (0) | 2018.01.15 |